블로그 이미지
milab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19. 9. 3. 19:03 카테고리 없음

https://bung015a.tistory.com/96

 

호모 사이언스- 적자생존

적자생존이란 말은 자연선택을 요약하는 문구로 흔히 쓰인다. 크고 강한 것이 작고 약한 것들을 꼼짝 못하게 찍어 누르는 모습을 연상시키는 이 문구는 많은 이들에게 정치적, 사회적으로 악용되기도 하였다. 하..

bung015a.tistory.com

https://brunch.co.kr/@browne/121

 

적자생존의 오해

모든게 오해 | 1859년에 출간된 <종의 기원>이 인류에게 던진 충격은 아직도 온전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고 나는 확신한다). 첨단 유전학이나 인접 학문들(고생물학, 지질학 등)의 발달은 다윈의 발견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과학적 진실임을 입증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더 나아가 자기가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그것이 과학이 아니라고까지 주장한

brunch.co.kr

http://naver.me/GNjTJ9Lm

 

다윈의 《종의 기원》에는 원래 '진화'라는 단어가 없었다?

[BY 휴머니스트] 우리가 '진화'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이름이 있다면 찰스 다윈일 ...

m.post.naver.com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D%99%94

 

진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화(進化)는 생물 집단이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축적해 집단 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종의 탄생을 야기하는 관찰된 자연 현상을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다.[1] 여러 생물 종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사성을 통해 현재의 모든 종이 이러한 진화의 과정을 거쳐 먼 과거의 공통 조상, 즉 공통의 유전자 풀로부터 점진적으로 분화되어 왔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었고,[2] 이러한 종분화가 관찰됨에 따라[3], 진화는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A0%81%EC%9E%90%EC%83%9D%EC%A1%B4

 

적자생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적자생존(適者生存, 영어: Survival of the fittest)은 1864년 영국의 철학자인 허버트 스펜서가 《Principles of Biology》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인간들의 사회적 생존경쟁의 원리를 함축시킨 사회-철학 용어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찰스 다윈에 의해 생물체나 집단체의 다양한 환경 적응력이 높을 수록 오래 살아남는다는 의미를 가진 진화론 영역의 과학 용어로 더 확고한 뜻으로 발전되었으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D%9A%8C_%EC%A7%84%ED%99%94%EB%A1%A0

 

사회 진화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 영어: Social Darwinism)은 19세기 찰스 다윈이 발표한 생물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의 변화와 모습을 해석하려는 견해로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다. 그 후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크게 유행하였다. 사회진화론은 인종차별주의나 파시즘, 나치즘을 옹호하는 근거와 신자유주의의 경제적 약육강식 논리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주로 극복해야 할 사상으로 언급된다.[1] 사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9A%B0%EC%83%9D%ED%95%99

 

우생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생학 (優生學) 은 종의 개량을 목적으로 인간의 선발육종을 찬성하는 생각이다. 인류를 유전학적으로 개량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조건과 인자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1883년 영국의 프랜시스 골턴이 처음으로 창시했는데, 가를 꾀하고 열악한 유전소질을 가진 인구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생학에 대한 골턴의 생각은 19세기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다. 고대 그리스시대, 플라

ko.wikipedia.org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3%BC%ED%95%99%EC%9E%90%EC%9D%98-%EB%AA%85%EC%96%B8%EA%B3%BC-%EC%98%81%EC%96%B4%EA%B3%B5%EB%B6%80-9

 

과학자의 명언과 영어공부 (9) – Sciencetimes

It is not the strongest of the species that survive, nor the most intelligent, but the one most responsive to change. 살아 남는 종(種)은 강한 종이 아니고, 또 똑똑한 종도 아니다. 변화에 적응하는 종이다. -찰스 다윈(1809-1882): 영국의 자연생물학자, 진화론자- 다윈(Charles Darwin)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인간의 조상(ancestor

www.sciencetimes.co.kr

It is not the strongest of the species that survive, nor the most intelligent, but the one most responsive to change.
살아 남는 종(種)은 강한 종이 아니고, 또 똑똑한 종도 아니다. 변화에 적응하는 종이다.
-찰스 다윈(1809-1882): 영국의 자연생물학자, 진화론자-

posted by milab